지구 둘레 구하는 비례식 알아보기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고대부터 지구의 둘레를 구하는 연구가 이어졌습니다. 그중 가장 유명한 방법은 고대 그리스 과학자 에라토스테네스가 태양의 그림자를 이용해 계산한 방식입니다. 이는 현대 방식과 유사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구 둘레 구하는 비례식과 활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지구 둘레를 구하는 기본 개념
지구는 완벽한 구형은 아니지만, 편의상 구로 가정하고 계산할 수 있습니다. 지구 둘레를 구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비례식을 활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고대에는 지금처럼 인공위성을 이용할 수도 없었고, 직접 지구를 한 바퀴 돌면서 측정하는 것도 불가능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지구 둘레를 측정할 수 있었을까요?
고대 그리스의 학자 에라토스테네스는 태양의 그림자를 이용하여 지구의 둘레를 계산하는 방법을 고안했습니다. 그는 비례식을 사용하여 놀랍게도 지구의 둘레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었습니다.
2. 에라토스테네스의 방법과 비례식
에라토스테네스는 이집트의 **시에네(현재의 아스완)**와 알렉산드리아 두 지역을 비교하여 태양의 그림자 차이를 이용했습니다.
그가 사용한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에네에서는 정오에 태양이 정확히 머리 위에 위치하여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 하지만 알렉산드리아에서는 같은 시간에 막대기를 세우면 그림자가 생겼습니다.
- 그림자의 길이를 측정하여 태양빛이 지표면과 이루는 각도를 계산하였고, 그 값이 약 7.2도임을 확인했습니다.
- 알렉산드리아와 시에네의 거리는 약 800km였습니다.
- 7.2도는 원 전체(360도)의 1/50에 해당합니다.
- 따라서 지구의 둘레는 800km × 50 = 40,000km로 계산되었습니다.
이 계산을 통해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둘레를 약 40,000km로 추정할 수 있었습니다.
3. 비례식을 활용한 지구 둘레 계산
위의 원리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비례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지구 둘레두 지역 사이의 거리=360도두 지역의 위도 차이(도)위 식을 실제 숫자로 적용하면:
지구 둘레800=3607.2이 비례식을 풀면:
지구 둘레=7.2800×360=40,000km즉, 지구 둘레는 약 40,000km로 계산됩니다.
이 방식은 지구의 둘레를 구하는 가장 대표적인 비례식 활용 방법이며, 현대 과학에서도 기본 원리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4. 직접 실험해볼 수 있을까?
에라토스테네스의 방법은 고대에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오늘날에도 간단한 도구와 수학을 이용하면 우리 주변에서 직접 실험해볼 수 있습니다.
준비물:
- 긴 막대기
- 줄자
- 각도기
- 거리 측정 도구(구글 지도 활용 가능)
실험 방법:
- 태양이 가장 높이 뜨는 정오에 막대기를 땅에 수직으로 세운다.
- 그림자의 길이를 측정하고,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태양빛의 입사각을 구한다.
- 다른 지역에서도 같은 실험을 진행하여 태양빛의 각도를 비교한다.
- 두 지역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위의 비례식을 사용하여 지구 둘레를 계산한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학교에서도 직접 실험을 통해 지구 둘레를 구할 수 있습니다.
5. 비례식의 활용 예시
비례식은 지구 둘레를 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구 반지름 계산
- 지구의 둘레를 알고 있다면 반지름도 구할 수 있습니다.
- 공식: 지구 반지름 = 지구 둘레 ÷ (2π)
- R=2π40,000≈6,366 km
지구 위 특정 두 지점 사이의 거리 계산
- 두 지점의 위도 차이를 이용하면 거리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천문학에서 행성 크기 계산
- 같은 원리로, 다른 행성의 크기도 비례식을 사용해 구할 수 있습니다.
6. 결론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구 둘레를 구하는 비례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학자 에라토스테네스는 단순한 그림자 실험과 비례식을 활용하여 놀라운 정확도로 지구 둘레를 계산했습니다.
이 방법은 오늘날에도 수학과 과학 교육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활용되며, 비례식을 활용한 사고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줍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